웹 서비스 개발 – OAuth 인증 – 3 – OAuth 클라이언트 구현

웹 서비스 개발 - OAuth 인증 - 3 - OAuth 클라이언트 구현
웹 서비스 개발 – OAuth 인증 – 3 – OAuth 클라이언트 구현

웹 서비스 개발 – OAuth 인증 – OAuth 2.0 서비스 제공자

안녕하세요~ 여러분! 😊
오늘은 OAuth 인증 시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OAuth 2.0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해 알아볼게요.
즉, 우리가 ‘로그인 버튼’ 클릭 한 번으로 쉽게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
구글, 네이버, 카카오, 깃허브, 페이스북 등의 백엔드 인증 제공자들이죠!

이 서비스들은 각각의 특징과 인증 흐름이 살짝씩 달라서,
실전에서 사용할 땐 각 서비스의 개성과 제한사항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!


1. OAuth 2.0 서비스 제공자란?

OAuth 2.0에서 **서비스 제공자(Provider)**란,
인가 서버와 리소스 서버를 운영하며 인증 토큰을 발급해주는 플랫폼이에요.

예를 들면:

  • 구글 로그인 👉 구글이 Provider
  • 카카오 로그인 👉 카카오가 Provider

이들 플랫폼은 **Client(앱/웹 서비스)**가 사용자 정보를 안전하게 요청할 수 있도록
인증 절차와 API를 제공해줍니다.


2. 대표적인 OAuth 2.0 서비스 제공자

아래에서 자주 사용하는 주요 서비스 제공자들을 비교해볼게요!

✅ 구글 (Google)

  • 인증 엔드포인트: https://accounts.google.com/o/oauth2/v2/auth
  • 토큰 발급: https://oauth2.googleapis.com/token
  • 사용자 정보: https://www.googleapis.com/oauth2/v3/userinfo
  • Scope 예시: openid profile email

특징:

  • OpenID Connect 포함 (JWT 토큰 기반)
  • Gmail, Calendar, Drive 등 다양한 리소스 접근 가능
  • 가장 표준적인 OAuth 구현 예시

예시:

https://accounts.google.com/o/oauth2/v2/auth?
client_id=xxx&
redirect_uri=https://example.com/callback&
response_type=code&
scope=openid%20email%20profile

✅ 카카오 (Kakao)

  • 인증 엔드포인트: https://kauth.kakao.com/oauth/authorize
  • 토큰 발급: https://kauth.kakao.com/oauth/token
  • 사용자 정보: https://kapi.kakao.com/v2/user/me
  • Scope 예시: profile account_email

특징:

  • 한국 내 사용자 비중 높음
  • 토큰은 Bearer 형태
  • 사용자 동의 범위 커스터마이징 가능

주의사항:

  • 앱 설정에서 Redirect URI, 동의 항목, 비즈 앱 등록 필요

✅ 네이버 (Naver)

  • 인증 엔드포인트: https://nid.naver.com/oauth2.0/authorize
  • 토큰 발급: https://nid.naver.com/oauth2.0/token
  • 사용자 정보: https://openapi.naver.com/v1/nid/me
  • Scope 예시: name email

특징:

  • OAuth 2.0 준수하지만 일부 커스텀 요소 존재
  • Client ID/Secret은 개발자 센터에서 발급

예시:

https://nid.naver.com/oauth2.0/authorize?
client_id=xxx&
redirect_uri=https://example.com/callback&
response_type=code&
state=random_state

✅ 깃허브 (GitHub)

  • 인증 엔드포인트: https://github.com/login/oauth/authorize
  • 토큰 발급: https://github.com/login/oauth/access_token
  • 사용자 정보: https://api.github.com/user
  • Scope 예시: read:user user:email

특징:

  • 주로 개발자 서비스용 (DevOps, CI/CD, 배포 자동화)
  • Accept: application/json 헤더 필요

주의사항:

  • 토큰 요청 시 client_secret 필요 (PKCE 미지원)

✅ 페이스북 (Facebook)

  • 인증 엔드포인트: https://www.facebook.com/v12.0/dialog/oauth
  • 토큰 발급: https://graph.facebook.com/v12.0/oauth/access_token
  • 사용자 정보: https://graph.facebook.com/me
  • Scope 예시: public_profile email

특징:

  • 다양한 마케팅 및 광고 연동 가능
  • Graph API 활용 범위 넓음

주의사항:

  • 앱 심사 및 사용자 동의 항목이 까다로움
  • 테스트 사용자 설정 필수

3. 서비스별 비교 정리

제공자 인증 주소 사용자 정보 URL 특징
Google accounts.google.com googleapis.com/userinfo 글로벌 표준, OpenID
Kakao kauth.kakao.com kapi.kakao.com/user/me 국내 사용자 비중 높음
Naver nid.naver.com openapi.naver.com 비즈니스 인증 필수
GitHub github.com api.github.com/user 개발자 서비스 연동
Facebook facebook.com graph.facebook.com/me 광고/마케팅 연동 강점

4. OAuth 구현 시 유의할 점 ✅

항목 설명
Redirect URI 등록 반드시 정확히 등록한 URI만 허용됨
State 사용 CSRF 방지 위해 state 파라미터 필수
Scope 관리 과도한 권한 요청은 사용자 이탈 초래
HTTPS 사용 인증/토큰 교환은 반드시 HTTPS
토큰 저장 방식 클라이언트에선 HttpOnly 쿠키 권장

5. 비유로 이해하는 서비스 제공자 역할 🎭

OAuth 서비스 제공자를 극장 매표소에 비유해볼게요:

  • 👤 사용자: 영화 관람을 원하는 손님
  • 🏢 클라이언트 앱: 사용자를 대신해 티켓을 받고 싶은 영화관 직원
  • 🎫 토큰: 관람을 허가받은 입장권
  • 🧑‍⚖️ OAuth 제공자: 영화관 본사(구글, 카카오 등)에서 발급한 공식 인증기관

클라이언트 앱은 반드시 **올바른 신분(클라이언트 ID/시크릿)**과 함께
사용자가 허락한 범위 내에서만 티켓(토큰)을 받아야 입장이 가능하답니다!


마무리하며 😊

OAuth는 단순히 “소셜 로그인”의 기능을 넘어,
서비스 간 신뢰와 연결을 안전하게 이어주는 기술이에요!

이번 시간엔 실제 웹/앱에서 활용할 수 있는
OAuth 2.0 서비스 제공자들의 특징과 인증 흐름을 살펴봤고요,

다음 시간에는 이 중 하나를 골라
실제로 OAuth 연동을 구현해보는 실습을 해볼게요!

궁금하신 점은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시고,
여러분의 서비스에 꼭 맞는 OAuth 제공자를 잘 골라 활용해보세요! 🔐✨

감사합니다! 🙌

답글 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