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 서비스 개발 – 웹 서비스 보안 – 0 – SSL/TLS 개념과 동작 원리

웹 서비스 개발 - 웹 서비스 보안 - 0 - SSL/TLS 개념과 동작 원리
웹 서비스 개발 – 웹 서비스 보안 – 0 – SSL/TLS 개념과 동작 원리

웹 서비스 개발 – 웹 서비스 보안 – 0 – SSL/TLS 개념과 동작 원리

안녕하세요, 믿음직한 개발자 여러분 😊
이번 시간에는 웹 서비스의 보안 핵심! 바로 SSL/TLS의 개념과 동작 원리에 대해 쉽고 자세히 설명드릴게요.

요즘은 웹사이트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있는지부터 확인하죠?
그 자물쇠가 바로 SSL/TLS로 암호화된 안전한 통신을 의미해요!
그럼 이 자물쇠가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, 어떻게 정보를 지켜주는지 지금부터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🔐


1. SSL과 TLS란 무엇인가요?

🔹 SSL: Secure Sockets Layer

1990년대 넷스케이프가 만든 초기 보안 프로토콜로, 인터넷상에서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었어요.

🔹 TLS: Transport Layer Security

SSL의 발전형! SSL의 후속 버전이며 더 안전하고 현대적인 보안 프로토콜입니다.
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“SSL”은 사실 대부분 TLS입니다!

비교 SSL TLS
최신 지원 ❌ (더 이상 사용 안 함) ✅ TLS 1.2 / TLS 1.3
속도 느림 빠름
보안성 낮음 높음

📌 “SSL”이라고 부르지만 실제론 TLS를 사용한다는 사실, 꼭 기억하세요!


2. 왜 SSL/TLS가 필요한가요?

인터넷은 기본적으로 **평문(Plain text)**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요.
즉, 누군가 중간에서 엿보면 비밀번호, 개인정보, 카드 정보가 그대로 노출될 수 있어요 😱

SSL/TLS를 사용하면?

  • 모든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전달
  • 도청, 변조, 위조 방지
  •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신뢰 확보

마치 편지를 보낼 때, 봉투에 넣고 자물쇠를 채워서 보내는 것과 같아요!


3. SSL/TLS의 동작 원리

이제 SSL/TLS가 어떻게 안전한 통신을 구현하는지 알아볼게요.
쉽게 설명하자면,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:


📦 1단계: 클라이언트 Hello (ClientHello)

  •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브라우저가 먼저 서버에 인사합니다.
  • “안녕하세요~ 저는 이 암호 방식들을 지원할 수 있어요!”

전달 정보:

  • 지원하는 TLS 버전
  • 암호화 알고리즘 목록 (Cipher Suite)
  • 랜덤 데이터

🔐 2단계: 서버 Hello + 인증서 전달

  • 서버도 인사하면서 **자신의 인증서(SSL 인증서)**를 보냅니다.
  • “저는 example.com입니다. 이건 제 신분증이에요!”

전달 정보:

  • 서버 인증서 (공개키 포함)
  • 서버가 선택한 암호화 방식
  • 서버 랜덤 데이터

✅ 여기서 인증서는 공인된 인증 기관(CA)에서 발급받은 것이어야 브라우저가 신뢰해요!


🧠 3단계: 키 교환 (Pre-Master Secret)

  •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공개키로 세션키(Pre-Master Secret)를 암호화해서 전송합니다.
  • 서버는 자신만이 알고 있는 비밀키(Private Key)로 복호화합니다.

🔑 이 과정을 통해 양측은 같은 세션 키를 안전하게 공유하게 돼요.
이후의 모든 통신은 이 키로 대칭 암호화됩니다.


🔄 4단계: 핸드셰이크 완료

  • 양측은 “Finished” 메시지를 주고받아 정상적인 연결 여부를 확인해요.
  • 이후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된 채로 안전하게 오갑니다!

👏 이 전체 과정을 “TLS 핸드셰이크”라고 부릅니다.


4. SSL 인증서란?

SSL 인증서는 사이트의 신원을 증명하는 디지털 서명된 파일이에요.
쉽게 말해, 웹사이트가 진짜인지 아닌지를 확인해주는 공식 신분증이죠!

인증서 구성 요소

  • 도메인명 (예: www.example.com)
  • 발급자 (CA: 인증기관)
  • 공개키
  • 유효기간
  • 디지털 서명

인증서 종류

종류 설명
DV 인증서 도메인 소유만 인증 (간단)
OV 인증서 기업 정보까지 인증 (중간)
EV 인증서 법적 기업명 표시 (브라우저 주소창에 표시)

5. HTTPS와 SSL/TLS의 관계

  • HTTP + SSL/TLS = HTTPS
  • 즉, HTTP 통신을 TLS 프로토콜로 감싸 안전하게 만든 것이 HTTPS입니다.

주소창에 자물쇠가 뜨고, URL이 https://로 시작하면
당신의 데이터는 안전하게 암호화된 통로를 지나가는 거예요 🚗🔒


6. 최신 TLS 버전은?

버전 설명
TLS 1.0 / 1.1 보안 취약. 대부분 브라우저에서 지원 중단
TLS 1.2 현재 가장 널리 사용
TLS 1.3 가장 최신, 더 빠르고 안전함

가능하면 TLS 1.3을 사용하도록 서버를 설정하세요!


7. SSL/TLS 적용 방법 (실전 팁)

  1. 인증서 발급 받기

  2. 웹 서버 설정

    • Apache: SSLEngine on
    • Nginx: ssl_certificate, ssl_certificate_key 설정
  3. 포트 확인

    • HTTP는 80번
    • HTTPS는 443번
  4. 브라우저 확인

    • 자물쇠 아이콘으로 HTTPS 확인 가능

주의할 점 정리 ✅

항목 주의 내용
http://는 암호화되지 않음 민감 정보 입력 절대 금지
SSL 인증서 유효기간 만료되면 보안 경고 발생
TLS 버전 확인 TLS 1.2 이상만 허용하도록 설정
중간자 공격(MITM) 주의 인증서가 위조되었을 수 있음, Always verify CA!
자체 서명 인증서는 브라우저에서 경고 테스트용은 OK, 실서비스는 No!

마무리하며 😊

SSL/TLS는 단순한 보안 기능이 아니라
웹의 신뢰와 안전을 지키는 든든한 지킴이입니다.

  • 평문 통신은 위험하다!
  • 암호화된 통신으로 안전하게 정보 주고받기
  • 올바른 인증서 적용과 TLS 설정은 선택이 아닌 필수!

웹 서비스를 운영하시는 분이라면 꼭 이 개념을 이해하고,
HTTPS를 기본값으로 삼는 시대에 발맞춰 가시길 바랍니다.

그럼 다음 시간에는 HTTPS 인증서 발급과 실서버 적용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.
오늘도 안전하고 똑똑한 개발자 되세요! 🛡️🚀💻

답글 남기기